본문 바로가기

등산

내장산 국립공원 등산코스(케이블카 소요시간) 내장산 국립공원은 전라북도 정읍시와 순창군 그리고 전라남도 장성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내장산을 중심으로 하는 국립공원입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내장산 지구와 백암산 지구로 구성되어 있고 1971년 11월 17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내장산은 영암의 월출산과 장흥 천관산, 전라북도 부암의 변산과 함께 호남 5대 명산으로 손꼽혀 왔습니다. 계절마다 다채롭고 아름다운 경관을 보여주는데 특히 가을 단풍과 겨울의 설경은 설악산에 버금가는 아름다운 모습을 띄어 해마다 많은 등산객들과 관광객들이 찾고 있습니다. 최고봉인 신선봉(763.5m)을 중심으로 여러 봉우리들이 내장산을 중심으로 타원형 연봉을 이루고 있습니다. 1971년 11월 17일 내장산국립공원 지정 1987년 8월 5일 내장산북부, 남부관리사무소.. 더보기
가야산 국립공원 등산코스 소개 가야산 국립공원은 경상남도 합천군과 거창군 그리고 경상북도 성주군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1,430m의 가야산을 중심으로 한 국립공원입니다. 팔만대장경을 봉안한 법보종찰 해안사를 비롯한 사찰. 고적들이 많아 조선 8경의 하나라 꼽혀오다 1972년 10월 13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가야산에는 300여종의 수목이 숲을 이루고 있고 평지에서 볼 수 없는 특수식물들이 자라고 있습니다. 또한 100여 종의 조류와 보기 드문 동물들이 서식하고 있기도 합니다. 정상에서는 가물어도 물이 마르지 않는다는 우비정이 있고 산허리 부근에는 마애불 입상이 자리 잡고 있습니다. 가야산은 오대산, 소백산과 함께 왜적의 전화를 입지 않았고 화재, 수재, 풍재와 같은 삼재가 들지 않는곳으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https://t.. 더보기
팔공산 도립공원 등산코스 추천 팔공산 도립공원은 대구광역시와 영천시, 그리고 경산시, 칠곡군, 군위군 등 경상북도 남부에 위치한 팔공산을 중심으로 한 도립공원입니다. 1980년 5월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팔공산 도립공원은 최고봉인 비로봉을 중심으로 동봉과 서봉이 양 날개를 펴고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습니다. 남동쪽으로는 염불봉과 수봉 그리고 노적봉과 인봉, 관봉 등이 이어져있고 서쪽으로 파계봉을 넘어 가산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팔공산에는 조계종 제9교구 본산인 동화사가 자리잡고 있고 은해사, 파계사, 관암사 등의 많은 절들도 함께 팔공산도립공원 안에 자리 잡고 있습니다. 동화사 근처에는 자연공원이 있는데 공중 케이블카 시설이 갖추어져 해마다 많은 등산객들과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팔공산 등산코스 추천 수도사 원점회귀 코스 수도사.. 더보기
주왕산 국립공원 등산코스 추천(난이도 소요시간) 주왕산은 태백산맥의 남단. 경상북도 영덕군과 청송군에 걸쳐 위치하고 있는 높이 722.1m의 산입니다. 주왕산은 암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형태로 산들이 병풍처럼 이어져 있는 산으로 석병산 또는 주방산이라고 불리기도 하고 있습니다. 진나라 주왕이 피신하여 왔던 산이라 주왕산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습니다. 주왕산은 지질이 우수하고 산이 깊어 다양한 동. 식물들이 넓게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왕산은 회양목과 송이버섯 그리고 산철쭉(수달래)과 천연 이끼들이 특산물로 유명한 곳입니다. 소나무 군락 또한 유명한 명소 중 하나입니다. 1976년 3월 30일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고 1977년에는 국민관광지로 설정되었습니다. 1976년 3월 30일 주왕산국립공원 지정 1977년 10월 4일 국민관광지 설정(공원계획).. 더보기
태백산 국립공원 산행코스 난이도 소요시간 태백산은 강원도 태백시와 강원 정선군, 강원 영월군 그리고 경상북도 봉화군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1,572m의 산입니다. 태백산국립공원은 70㎢의 달하는 넓은 크기의 면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1989년 5월 13일 강원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1997년 5월에 개관을 하였으며 면적을 더 넓혀 2016년 5월 12일에는 마침내 가장 마지막으로 지정된 국립공원입니다. 1989년 05월 13일 태백산도립공원 지정 1992년 05월 27일 태박산도립공원 개관 2016년 04월 15일 국립공원위원회 심의, 의결 2016년 05월 12일 태백산국립공원 지정 2016년 08월 22일 태백산국립공원사무소 개소 태백산은 백두대산의 중앙부에 솟아 있는 산으로 민족의 영산이며 한강, 낙동강, 삼척 오십천이를 발원하는 이남.. 더보기
소백산 국립공원 등산코스(소요시간 난이도) 소백산은 태박산에서 남서쪽으로 뻗은 소백산맥 중 하나의 산으로써 비로봉, 국망봉, 제2연화봉, 신선봉, 묘적봉 등의 많은 봉우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치는 경상북도와 충청북도 지역에 걸쳐있고 정상인 비로봉은 높이 1439.67m의 달하는 고 봉우리입니다. 북서쪽으로는 경사가 완만하며 국 망천이 흐르고 있고, 반대로 동남쪽으로는 경사가 심하고 낙동강 상류로 들어가는 죽계천이 시작되는 곳입니다. 소백산은 화강편마암이 중심을 이루고 있고 그 주변으로 중생대의 화강암류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소백산국립공원은 봄철에는 철쭉의 아름다움을 감상할 수 있고 겨울이면 백두대간에 설화가 만발하는 절경을 감상할 수 있어 해마다 많은 등산객과 관광객들이 방문하고 있습니다. 소백산국립공원 면적 320.5㎢ 1987년 12월 1.. 더보기
비슬산 등산코스 참꽃축제 진달래 개화시기 비슬산 비슬산은 대구광역시 달성군과 경상북도 청도군 경계에 자리 잡고 있는 높이 1083.4m(천왕봉)의 산입니다. 남쪽으로는 조화봉(1058m)과 관기봉(990m)이 어어지고 유가사 쪽에서 올려다보면 거대한 바위 능선이 솟아 있는 형태입니다. 정상에 오르면 낙동강의 경치가 한눈에 들어오고 봄철엔 철쭉과 참꽃, 그리고 가을에는 억새군락을 감상할수 있는 것으로 유명한 산입니다. 형제바위, 코끼리바위, 형제바위와 같은 유명한 바위들이 있고 용연사와 용문사 그리고 유가사 등의 사찰들이 산재하고 있습니다. 그중 용연사 경내에는 대구유형문화재인 석조계단과 대견사지 삼층석탑이 알려져 있습니다. 천명, 냉천 계곡, 장 군수 등 유명한 약수터가 많아 등산객과 관람객들이 많이 찾는 산으로도 유명합니다. 1986년 2월 .. 더보기
무등산 국립공원 등산코스별 소요시간 및 난이도 무등산 국립공원 무등산은 광주광역시와 전남 화순군, 담양군에 걸친 곳에 위치하고 있는 높이 1,187m의 산입니다. 무등산의 정상은 천왕봉(1,187m)이지만 1966년부터 공군 제8989부대 예하 3포대가 주둔하고 있어 군사 시설 보호구역으로 통제가 되고 있습니다. 사실상 일반 등산객들이 천왕봉을 오르기는 어렵기 때문에 서석대(1,100m)가 가장 높은 지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72년 5월 22일 무등산 도립공원(전남고시 제85호)으로 지정이 되었으며 40여년 정도 후인 2013년 3월 4일에 무등산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는 우리나라의 21번째로 지정된 국립공원이었으며 1988년에 지정된 변산반도, 월출산 이후에 약 25여 년 만에 지정된 신규 국립공원입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전체 면적.. 더보기